https://hanewfoodnote.com 2025년 신혼부부 대출 총정리 – 전세부터 주택구입까지 한눈에 보기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신혼부부 대출 총정리 – 전세부터 주택구입까지 한눈에 보기

by 외식산업전문가 2025. 5. 12.
728x90

결혼을 앞두고 가장 큰 고민 중 하나는 바로 ‘주거’입니다.
정부와 지자체는 신혼부부의 주거 부담을 덜기 위해 다양한 대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전세부터 내 집 마련까지, 2025년 기준 신혼부부가 활용할 수 있는 대표 대출 상품들을 정리해드립니다.



1.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 대출
• 대상: 혼인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(결혼 예정자)
• 조건: 무주택 세대주, 연소득 7천만 원 이하 (맞벌이 8천5백만 원 이하)
• 한도: 수도권 최대 2.2억 원, 비수도권 최대 1.8억 원
• 금리: 연 1.2%~2.1% (소득·자녀 수에 따라 차등)
• 기간: 기본 2년, 최장 10년까지 연장 가능
• 특징: 임차보증금의 5% 이상 계약금 납부 필요



2. 신혼부부 전용 주택구입 디딤돌 대출
• 대상: 혼인 7년 이내의 신혼부부 또는 예비신혼부부
• 조건: 생애 최초 주택 구입, 무주택자, 연소득 7천만 원 이하
• 한도: 최대 2억 원
• 금리: 연 1.6%~2.45% (소득·자녀 수에 따라 차등)
• 주택가격 기준: 5억 원 이하
• 특징: 고정금리 또는 혼합금리, 자녀 수에 따라 우대금리 적용



3. 생애최초 특별공급 & 신혼희망타운 연계 대출
• 신혼희망타운 연계 대출:
• 전용 주택 분양과 동시에 연 1.3% 저리로 장기 모기지 이용 가능
• 소득과 자산 기준 충족 시 우선 공급 대상
• 생애최초 특별공급:
• 민영·공공분양 주택에서 일정 비율로 공급
• 디딤돌 대출과 중복 신청 가능



4. 청년·신혼부부 매입임대·전세임대주택 제도
• 매입임대주택:
• LH 또는 지자체가 보유한 주택에 저렴한 임대료로 6~20년 거주 가능
• 전세임대주택:
• 입주자가 선택한 전세주택을 LH가 대신 계약해 재임대
• 월 임대료는 전세보증금의 약 2~3% 수준



5. 지자체별 지원 (예: 인천 천원주택)
• 인천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신혼부부를 위한 특별한 임대주택이나 임차 지원 사업을 운영 중
• 신청 요건 및 일정은 지역별로 상이하며, 정기 공고를 통해 모집



대출 신청 방법 안내
• 공통 서류: 혼인관계증명서, 가족관계증명서, 소득금액증명원, 재직증명서, 임대차계약서 등
• 신청처:
• 기금e든든 (전세·구입대출) → https://nhuf.molit.go.kr
• LH 청약센터 (매입·전세임대) → https://apply.lh.or.kr
• 각 지역 시청·구청 (지자체 사업별)